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ocker
- SSL 인증서
- Terraform
- taint
- Amazon DynamoDB
- Kubernetis
- Cognito
- DaemonSet
- Python
- CI CD
- ConfigMap
- AWS EC2
- Amazon GuardDuty
- AWS
- k8s
- Industry Week 2023
- DevOps
- Terraform state
- ansible
- Backend
- mariaDB
- Amazon RDS
- AWS Security Hub
- ReplicaSet
- staticmethod
- Heartbleed
- Amazon VPC
- deployment
- classmethod
- Amazon Route 53
- Today
- Total
목록Knowledge (11)
Nubes et Stella

01. API란?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서로 약속된 규칙이 필요하다. 때문에 프로그래밍을 할 때에는 외부 프로그램과의 연동을 생각해서 이러한 규칙을 사전에 정의해야 하는데 이러한 규칙들을 API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요약하자면 API는 소스 코드 수준에서 정의되는 인터페이스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가(Client) 스마트폰으로 카카오에 특정 request를 보내면 해당 request를 인식하여 그에 맞는 response를 카카오에서 보내줘야 한다. 이 때 카카오는 특정 request에 맞는 response를 보내줘야 하는데 이를 위한 규칙이 API이다. 여러 공공기관, 기업에서는 개발자들을 위한 API를 공개하고 있다. https://developers.kak..

01. 매개변수(Parameter)란? 코딩에서 함수를 최초 정의하여 생성 할 때 함수가 받기로 약속한 "변수명"을 매개변수라고 한다. 02. 인자란(Argument)란? 매개변수와 비슷한 것으로 보이나, 함수에 전달하는 "실제 값" 이라고 보면 된다. 매개변수의 개념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함수가 전달받는 값이기 땜문에 "전달인자"라고도 불린다. 03. 코드에서? 아래의 코드는 2개의 매개변수를 정의하고 값 1과 2를 받아서 return해주는 함수이다. 해당함수는 test(a, b)에서 "a"와 "b"가 매개변수가 되고, 코드 실행시 들어가는 실제 값인 "1"과 "2"가 인자가 된다. def test(a, b): c = a + b return c test(1, 2)

01. Webhook이란?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벤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다. A webhook in web development is a method of augmenting or altering the behavior of a web page or web application with custom callbacks. These callbacks may be maintained, modified, and managed by third-party users and developers who may not necessarily be affiliated with the originating website or application. The term "webhook" wa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