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Heartbleed
- SSL 인증서
- Amazon RDS
- Amazon VPC
- deployment
- ReplicaSet
- ConfigMap
- CI CD
- ansible
- mariaDB
- AWS
- k8s
- Amazon GuardDuty
- Industry Week 2023
- classmethod
- AWS Security Hub
- Backend
- Python
- Amazon DynamoDB
- AWS EC2
- Kubernetis
- staticmethod
- Amazon Route 53
- Cognito
- Terraform state
- taint
- Terraform
- DaemonSet
- DevOps
- docker
- Today
- Total
목록AWS/Network (2)
Nubes et Stella

01. Amazon VPC란? VPC(Virtual Private Cloud)는 AWS의 가상 네트워킹 서비스로, EC2 인스턴스를 비롯한 여러 AWS 서비스에 네트워크 리소스를 담을 수 있는 가상 네트워크이다. 모든 VPC는 기본적으로 다른 모든 네트워크와 격리돼 있지만, 필요할 때는 인터넷 및 다른 VPC 등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다. VPC는 말 그대로 클라우드에서의 가상 사설망이다. 그렇기 때문에 CIDR을 설정해야 하는데, 사설망이기 때문에 기존의 사설망 대역을 사용한다. - 10.0.0.0 ~ 10.255.255.255(10/8 prefix) - 172.16.0.0 ~ 172.31.255.255(182.16/12 prefix) - 192.168.0.0 ~ 192.168.255.255(1..
01. Amazon Route 53이란? AWS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DNS서비스이다. 단순 DNS 서비스뿐만 아니라 도메인 등록, 상태 검사, 라우팅 정책등의 기능 또한 제공하고 있다. Route 53에서 숫자 53이 붙는 이유는 물론 DNS포트가 53이기 때문이다. Route 53에서 제공하는 기능들과 사용법을 알아본다. 가. 도메인 등록 사용자가 도메인을 구매하여 소유하듯 Route 53을 사용해서 쉽게 도메인 등록을 할 수 있으며, AWS인프라와 연결할 도메인 이름 등록에 Route 53을 사용하면 운영 업무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메인을 현재 등록 대행자에게 그대로 두는 경우에도 Route 53으로 DNS구성을 관리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Route 53 레코드 집합에 있는 DNS 서버 주소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