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I CD
- Terraform state
- Industry Week 2023
- Heartbleed
- ConfigMap
- AWS EC2
- DaemonSet
- Amazon Route 53
- deployment
- taint
- Terraform
- AWS Security Hub
- staticmethod
- Amazon DynamoDB
- SSL 인증서
- Amazon VPC
- Amazon RDS
- docker
- Amazon GuardDuty
- Kubernetis
- Python
- Cognito
- mariaDB
- AWS
- DevOps
- ansible
- Backend
- k8s
- classmethod
- ReplicaSet
- Today
- Total
Nubes et Stella
[AWS] Amazon Route 53 본문
01. Amazon Route 53이란?
AWS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DNS서비스이다. 단순 DNS 서비스뿐만 아니라 도메인 등록, 상태 검사, 라우팅 정책등의 기능 또한 제공하고 있다. Route 53에서 숫자 53이 붙는 이유는 물론 DNS포트가 53이기 때문이다. Route 53에서 제공하는 기능들과 사용법을 알아본다.
가. 도메인 등록
사용자가 도메인을 구매하여 소유하듯 Route 53을 사용해서 쉽게 도메인 등록을 할 수 있으며, AWS인프라와 연결할 도메인 이름 등록에 Route 53을 사용하면 운영 업무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메인을 현재 등록 대행자에게 그대로 두는 경우에도 Route 53으로 DNS구성을 관리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Route 53 레코드 집합에 있는 DNS 서버 주소를 복사해서 등록 대행자의 관리 기능에 붙혀넣기만 하면 된다.
나. 상태 검사
Route 53은 연결된 리소스의 상태 모니터 도구와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할 방법을 제공한다. Route 53에서 상태 검사를 설정하면, 상태 검사는 연결된 리소스를 정기적으로 검사한다.
모든 것이 정상이면 Route 53은 해당 리소스로 계속해서 트래픽을 라우팅 하지만, 무응답 횟수가 설정값을 넘으면 Route 53은 리소스가 문제가 있는걸로 판단하고 트래픽을 백업 리소스로 전환한다.
다. 라우팅 정책
라우팅 정책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고싶으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자.
https://docs.aws.amazon.com/ko_kr/Route53/latest/DeveloperGuide/routing-policy.html
라우팅 정책 선택 - Amazon Route 53
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docs.aws.amazon.com
- 가중치 기반 라우팅
가중치 기반 라우팅 정책은 설정된 비율에 따라 여러 리소스로 트래픽을 라우팅한다. 각 리소스의 사용량을 확인 하여 지정된 가중치에 따라서 사용자를 할당할 수 있다.
- 지연시간 라우팅
지연 시간 라우팅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짧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는 인스턴스로 요청을 전달하도록 한다.
- 장애 조치 라우팅
장애 조치 라우팅은 기본으로 지정된 리소스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동안에는 트래픽을 그쪽으로 전달하고, 기본 리소스가 오프라인이 되면 다음 트래픽은 보조로 지정된 리소스르 전송하는 방식이다.
- 지리 위치 라우팅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어떤 리소스에 전송해야 할지 결정하는 정책이다. 이렇게 하면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 지리적 위치 라우팅
리소스 위치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라우팅하고 선택적으로 한 위치의 리소스에서 다른 위치의 리소스로 트래픽을 이동하려는 경우에 사용한다.
- IP 기반 라우팅
IP 기반 라우팅은 사용자 IP-엔드포인트 매핑 형태로 Route 53에 데이터를 업로드하여 성능을 최적화하거나 네트워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세분화된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 다중 응답 라우팅
Route 53이 DNS 쿼리에 무작위로 선택된 최대 8개의 정상 레코드로 응답하게 하려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다중 값 응답 라우팅과 상태 검사를 사용하여 프라이빗 호스팅 영역에서 레코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상태 검사를 통해서 정상 레코드만 응답하므로 이 정책을 통해서 LB를 구현할 수 있다.
라. 트래픽 흐름
Route 53 트래픽 흐름은 콘솔 기반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구축해 놓은 복잡한 라우팅 정책 조합을 시각화 해준다. 아래는 트래픽 흐름기능을 사용하여 시각화한 라우팅 정책 예시이다.
02. Route 53 실습
Amazon Route 53 링크 : https://us-east-1.console.aws.amazon.com/route53/v2/home?region=ap-northeast-2#Dashboard
https://us-east-1.console.aws.amazon.com/route53/v2/home?region=ap-northeast-2#Dashboard
us-east-1.console.aws.amazon.com
- 도메인 등록을 통해서 도메인 구매를 진행한다.
- 물론 naver.com은 사용할 수 없기에, 비슷한 도메인을 AWS에서 추천해서 보여준다.
(실제 구매는 하지 않고 형태만 보자)
- 가용성 모니터링(상태 검사)를 통해서 상태 검사 항목을 생성한다.
- 3가지 형태(엔드포인트, 다른 상태 검사, CloutWatch 경보 상태)에 대해서 상태 검사를 구성할 수 있다.
(엔드포인트를 기준으로 생성해 보자)
- 필요한 경우 상태 검사 실패 시 경보를 생성해준다.
- 최종적으로 DNS를 관리하기 위해서 등록한 도메인의 호스팅 영역을 생성해준다.
- 생성한 호스팅 영역을 확인 (NS, SOA 유형은 기본으로 생성된다.)
- 많이 쓰게 되는 도메인-IP 매핑을 위해서 A 유형을 생성한다.
- 이 설정에서는 "루트 도메인"에 대해서 "IP 192.168.102.201"를 매핑한다.
- 그리고 라우팅 정책은 단순 라우팅으로 설정한다.
- 마지막으로 생성된 레코드를 확인하면 끝!!
- END -
'AW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mazon VPC (0) | 2023.10.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