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bes et Stella

IaaS - PaaS - SaaS 본문

Knowledge/Cloud

IaaS - PaaS - SaaS

SeongYeong Han 2023. 9. 27. 11:58

01. IaaS - PaaS - SaaS의 개념

IaaS - PaaS - SaaS는 모두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의 유형이다. 이 3가지 모델은 어떤 자원/서비스를 제공하느냐에 따라 구분되며, 아래의 모든 모델들의 특징은 클라우드의 특징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IaaS는 가상화된 각 종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하는 모델이다. 가상머신, 스토리지, 네트워크, DB등 인프라에 필요한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IaaS는 기존의 IDC에서 제공받던 물리적인 하드웨어 자산을 모두 가상화 하기 때문에 서버 환경의 변경(확장/축소)가 필요할 경우 빠르게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실제 물리하드웨어에 대한 관리를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모두 진행하기 때문에 인프라 관리에 필요한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디스크 깨질 걱정을 안해도 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들이 이에 포함된다.

(ex. AWS(Amazon Web Services), MS Azure, Google GCP, Naver NCP..)

 

IaaS 장점

  • 다양한 인프라 자원을 빠르게 생성 및 배포 가능
  • 자원에 대한 확장 및 축소가 용이
  • 물리적 자원에 대한 유지보수 불필요

PaaS (Platform as a Service) :

PaaS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실행, 관리하기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모델이다. CSP는 서버, 운영체제(OS)를 제공하고 시스템/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백업 서비스도 지원한다.

 

본 모델은 프로그래머와 개발자를 위한 모델이며 부수적인 인프라스트럭처를 생각하지 않고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원한다.

(ex. AWS Elastic Beanstalk, Windows Azure, Heroku, Google App Engine ..)

 

PaaS 장점

  • 많은 개발자와의 협업 간소화
  • 각 종 인프라의 유지보수나 관리가 필요없어 개발에 집중가능
  • 개발 및 배포에 이르는 프로세스를 빠르게 확보

SaaS (Service as a Service) :

SaaS는 사용자에게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모델이다. 서비스에 대한 유지보수 및 관리를 모두 서비스 제공업체가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따로 설치할 필요 없이 웹을 통해서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인터넷이 가능한 어디서든 24시간 빠르게 사용가능하다. 내가 자주 보는 Netflix역시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SaaS이다

(ex. Gmail, Dropbox, Salesforce ..)

 

SaaS 장점

  •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접근성
  • 간편한 확장성
  • 추가 설치가 필요없는 사용 편의성

 

- END -